국내 건설사들이 새 먹거리를 찾아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는 가운데 인도 인프라 시장이 급부상하고 있다.


25일 KOTRA에 따르면 현재 인도는 도시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관련 인프라 구축과 개선을 위해 신규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인도의 도시화율은 2010년 30%에서 2020년 34%, 2050년 54%로 증가하고, 2020년에는 도시에서 주택 3000만 가구, 전력 160GW가 부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인도정부는 지난해 운송, 전력, 물, 통신 등 4대 인프라 예산에 전체 예산의 52.8%인 620억 달러 규모를 투입했으며, 투자규모는 매년 19.2%씩 증가하는 추세다.


또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제1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에 1조원 달러를 투자할 방침이지만 인도정부의 제정적자가 9.9% 수준(2009년 기준)으로 높아 민간참여를 유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현재 인도 인프라 시장은 기업 주도로 도시 단위 또는 여러 산업지대를 연결하는 복합형 인프라 개발이 확대되고 있다.

 

이와 함께 2월말 현재 인도의 도로는 총 334만km로 길이만으로는 세계 2위의 도로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지만 전체 물동량의 40% 이상을 책임지고 있는 'national highway'는 왕복 4차선으로 길이 기준 전체 도로의 2%에 불과하며, 파손 정도도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1993년 처음 인도 인프라 시장에 진출해 석유개발, 도로, 전력 분야를 중심으로 2010년까지 총 132억 달러를 수주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두산중공업이 11억 달러 규모의 석탄화력발전소를, 현대엔지니어링이 복합화력 발전소를 10억 달러에 수주하는 등 수주규모가 늘고 있으나 지난해 수주액은 32억 달러에 그쳤다.

전체 해외건설 수주 가운데 인도가 차지하는 비율은 4.4%에 불과한 실정인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올해를 한-인도의 해로 선포하는 등 경제 분야를 비롯해 인도와의 긴밀한 관계 구축, 건설기업의 인도 시장 진출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에 앞서 한국과 인도는 지난해 1월1일부터 FTA를 포함하는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CEPA)이 정식으로 발효되고 있어 국내 기업 진출의 발판은 이미 마련돼 있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건설 시장 침체가 장기전으로 접어들고 있어 인도의 인프라 시장은 상당히 매력적”이라며 “인도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차관 제공과 금융지원, 그리고 민간기업은 컨소시엄 구성으로 공동 진출하는 방식을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