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업의 해외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토해양부가 나서기로 했다.
국토부는 특히 건설엔지니어링 분야의 해외 경쟁력이 취약하다고 판단하고, 이 분야에 대한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국토부 김진숙 기술안전정책관은 16일 해외건설사업은 우리나라와 달리 업역별 서비스를 요구하는 게 아니라, 종합적인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국장은 이에 따라 올해 안으로 건설기술용역의 분리된 업역체계를 선진화하는 방안을 중점 추진키로 했다.

 

이를 위해 설계 CM 감리 등 분리된 업역체계를 묶어 ‘원스톱 토털 서비스’가 가능한 방안은 무엇인지, 글로벌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효율적 ‘토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어떤 것인지에 대해 건설기술연구원에 용역을 의뢰했다.
용역결과는 7월 중순 쯤 나올 예정이다.


국토부는 이 용역 결과를 토대로 건설엔지니어링 업계의 경쟁력 강화에 나설 방침이다.
이와 함께 건설엔지니어링산업의 세계시장 진출 활성화를 위해 설계 프로세스 및 관련 제도를 선진국에서 통용되는 수준으로 개선하는 등 건설기술제도를 선진화하기로 했다.


특히 설계 감리 등 분리된 업역은 한때 업계의 전문역량을 키우는데 도움이 돼 왔으나, 융복합 서비스를 요구하는 현재의 해외시장 추세에는 오히려 걸림돌이 되고 있는 실정이라는 게 국토부의 시각이다.
실제로 설계 감리 등 건설기술용역업의 경우 지난해 해외수주 실적은 10억 달러에 불과해 지난해 해외수주 716억 달러에 비하면 조족지혈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는 시공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기술에 비해 기획 설계 사업관리 등 엔지니어링 기술력이 취약하다는 반증인 것이다.


이같은 현상을 두고 한 전문가는 “우리 건설기업은 콘크리트 비비는 막노동에만 익숙할 뿐, 소위 돈이 되는 건설기획이나 건설컨설팅 등 지적 수준을 요하는 분야에는 취약하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CM 업계 한 관계자는 “벡텔 등 세계 톱클래스 기업들도 이전에는 시공회사였으나 토털 기술용역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변신해 성공한 케이스”라며 “우리 건설기업도 변할 기회가 있었으나 근시안적 안목이 오늘날의 경쟁력 약화 요인이 됐다”고 개탄했다.


이에 대해 대형건설 업계 한 관계자는 “한때 엔지니어링 조직을 유지하는 것보다 외주에 의존하는 게 유리하다는 인식이 있었던 게 사실이었다”며 “그러나 대형업체들은 이미 4~5년전부터 CM부서를 만들고 협회활동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는 등 기술용역 분야를 포함한 토털서비스 제공을 위한 변신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인터뷰> 국토해양부 김진숙 기술안전정책관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