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습적인 저가 수주업체는 신용평가에서도 C등급 또는 D등급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 6월 실시된 채권단의 3차 신용위험평가에서 C등급을 받은 건설사의 최근 3년간(2007∼2009년) 최저가낙찰제 공사 평균 낙찰률은 69.99%로 같은 기간 전체 평균 낙찰률(71.17%)에 비해 1.18%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퇴출 대상인 D등급 건설사는 71.14%로 적정 낙찰률 80%에는 훨씬 미치지 못하는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저가낙찰에 따른 부담이 부실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과, 역으로 부실화된 기업의 최후 발악 수단으로 ‘최저가 투찰’이 악용되고 있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입증한 대목이어서 주목을 끌고 있다.


최근 민간주택시장 위축으로 대·중·소 업체를 막론하고 최저가 공사 출혈경쟁에 뛰어들면서 이에 따른 부실시공 가능성과 함께 건설업계의 부실을 야기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로 최근 총 공사비만 4000억원에 달하는 전경련 회관 신축공사에 대형 건설사 7곳이 입찰했다.
최저가 낙찰제로 진행된 이번 수주에서 예정가의 절반수준을 제시한 H컨소시엄이 우선대상 협상자로 선정됐다.


또 보금자리주택지구 서울 서초 A2블록 아파트 건설 공사입찰에 10대 건설사 5곳을 포함, 50여개의 건설사가 최저가 수주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가낙찰로 인한 수익성 악화는 건설사들의 또 다른 고민거리다.
이들 공사는 사실상 반값의 사업비로 공사를 하는 셈이다.
이에 따라 향후 시공 현장에서 돌발 상황이 발생하면 인력과 장비 운용에 따른 출혈로 수익성이 크게 악화돼 자칫 부실공사를 야기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대형건설업계 관계자는 “건설사들이 실적 확보에 급급해 무조건 수주해 놓고 보자는 사업도 있다”며 “공사 집행시 실행률이 높아지면서 반값공사를 진행하는 업체들은 경영에 직접적인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건설협회는 저가 수주 문제점의 개선책을 마련, 업계 의견이 수렴되는 대로 정부에 건의할 방침이다. 


건설협회 조준현 제도계약실장은 “건설사가 제시한 입찰가격 심사를 대폭 강화해 너무 낮으면 탈락시키는 등의 저가 심의를 현재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가격 중심의 최저가 입찰 방식에서 벗어나 기술과 시공관리 중심으로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건설산업연구원도 지난 5월 최저가낙찰제에 따른 출혈경쟁으로 건설업계의 부실이 심화하고 있다며 최저가낙찰제 및 저가심의제도 개선을 촉구한 바 있다.


4대강 사업을 수행하는 대형건설사 한 관계자는 “공공공사의 완공 시점이 다가오면서 ‘반값’공사 수주의 후유증이 2012년까지 지속될 여지가 있다”며 “공사가 끝나면 원도급업체뿐만 아니라 하도급업체, 자재업체들까지 ‘부도’라는  비상상황을 피해갈 수 없을 지경”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